본문 바로가기
내맘대로 정보

티빙 계정 공유 제한, 언제부터? 이유와 전망 정리

by 김서선씨 2025. 3. 25.

    [ 목차 ]
반응형

국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시장에서 티빙은 최근 계정 공유 제한 도입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이는 넷플릭스와 디즈니플러스 등 주요 글로벌 OTT 플랫폼이 이미 시행한 정책으로,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티빙의 이러한 움직임은 안정적인 수익 모델 구축과 가입자 증가를 위한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오늘은 이러한 계정 공유 제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볼게요.

티빙의 계정 공유 제한 검토 배경

2024년 11월 7일, 티빙의 최주희 대표는 CJ ENM 3분기 실적 발표 직후 열린 컨퍼런스콜에서 "티빙의 계정 공유를 제한하는 부분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넷플릭스가 계정 공유 금지를 통해 가입자 수를 15~20% 증가시킨 사례를 참고한 것입니다. 

티빙은 2024년 3분기 매출액 1,213억 원, 영업손실 71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55% 증가하고, 영업손실은 241억 원 감소하는 등 실적 개선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한국프로야구(KBO) 단독 중계 등 스포츠 콘텐츠의 힘이 컸습니다. 그러나 KBO 시즌 종료로 인한 가입자 이탈 우려가 제기되면서, 티빙은 계정 공유 제한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구축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티빙 공유제한 공지사항
이미지 출처 : 티빙 공지사항

글로벌 OTT 플랫폼의 계정 공유 제한 사례

넷플릭스는 2023년 5월 미국을 시작으로 계정 공유 제한 정책을 도입하였으며, 국내에서는 2023년 12월부터 시행하였습니다. 이 정책에 따라 한 집에 같이 살지 않는 이용자와 계정을 공유할 경우 매월 5,000원의 추가 요금을 부과하였습니다. 이러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넷플릭스는 가입자 수가 증가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얻었습니다. 

디즈니플러스 또한 2024년 9월 말부터 미국과 유럽 등 일부 국가에서 계정 공유 제한 정책을 도입하였습니다. 가족 외에 계정 공유 사용자를 1명 추가할 경우, 베이직 요금제는 월 6.99달러, 프리미엄 요금제는 월 9.99달러를 추가로 지불해야 합니다.

 

티빙의 계정 공유 제한 도입 전망과 과제

티빙이 계정 공유 제한 정책을 도입할 경우, 수익성 개선과 가입자 증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이 이용자들에게 추가적인 비용 부담을 줄 수 있어, 가입자 이탈 등의 부작용도 우려됩니다. 실제로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발간한 'OTT 서비스 변화에 대한 이용자 반응 보고서'에 따르면, 계정 공유 제한 정책 시행 시 공유 이용자 63.7%가 해당 OTT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티빙은 계정 공유 제한 도입 시 이용자들의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광고 요금제 도입이나 다양한 프로모션을 통해 이용자들의 부담을 줄이고, 매력적인 오리지널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가입자 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또한, 계정 공유 제한 정책의 세부 사항을 명확하게 안내하고, 이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소통을 강화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결론적으로, 티빙의 계정 공유 제한 검토는 수익성 개선과 안정적인 가입자 기반 확보를 위한 전략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용자들의 반응과 시장 상황을 고려하여 신중하게 접근해야 하며, 다양한 보완책을 마련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반응형